Overview
(24인치 모니터 기준) 3줄 요약
저는 사람들이 없으면 불편해서 울 정도의 퀄리티의 디지털 제품(SaaS)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에 로망이 있는 사람에요!
실리콘밸리에서 3년, 뉴욕에서 2년 product manager (디지털 제품 기획자, 관리자) + 소프트웨어 솔루션 엔지니어로 일했구요.
지금은 누구나 관심사가 있는 사람들을 모아 커뮤니티를 만들고 클럽을 운영하며 마음이 맞는 사람들을 만나서 (다시 만나는) 이벤트를 열고 함께 성장하면서 멤버들이 수익화 있는 제품을 만들고 있어요!
first 0 to 1~1000 users product & operation strategy coaching 도 같이 하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남들이 만들어놓은 길이 아닌 제 마음이 이끄는 길"의 특성을 가진 저는 어렸을 때부터 창업 및 커뮤니티/이벤트 빌딩에 관심이 많아 이런저런 프로젝트, 창업을 해보았습니다.
제 라이프 미션을 기반으로한 10년간의 활동을 소개합니다 
서울에서 창업 4년 (2013-2017), 대학 purdue 대학교 (2017-2018컴퓨터 사이언스, Indiana, Chicago), 미국 스타트업 (sendbird, 2018-2023, SF/NYC), 서울 & SF 창업 (one degree labs, 2024-present)
1.아두이노,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로 아이디어를 만들어보는 메이커 커뮤니티 “만들래” 운영
•
커뮤니티 멤버 수 약 1500명, EBS 출연, 강연/워크샵/전시 진행 많이 했으나 밑에 있는 아이템을 위해 커뮤니티 운영을 중단 (https://youtu.be/J97Nje4ugTY?si=SVhduBeXJtx31tJf)
2. 서울시, 유엔협회세계연맹과 해커톤 이벤트 공동 주최, 기획 및 운영
•
2015년 서울시장님, 유엔협회세계연맹 사무총장님, 백악관CTO님과 함께 “글로벌 해커톤 서울“이라는 전세계 개발/기획/디자이너 올림픽이 있습니다.
•
서울시의 문제를 주제로 전 세계 각지에서 참가하는 2000명 규모 (해외 개발자 1000명과 한국 개발자 1000명)이 코엑스에서 모여 3박 4일 개발하는 개발 올림픽/해커톤
•
친구가 서울시장께 아이디어를 적은 이메일을 보냈고 그 후 서울시에서는 서울디지털산업과를 부서를 개설해주시고 코엑스 대관비 및 종각의 글로벌 센터에 사무실을 구해주시고 각종 스피커 및 행사진행을 위한 소개를 많이 해주셨으며 행사 소개 기사를 보고 관심가져 주신 분들이 꽤 있으셨습니다
•
전세계에서 약 7500명 지역에서 해커톤 우승/참가 경험 많으신 개발자/디자이너 분들이 지원해주셨습니다
•
메르스로 취소되었지만 이 해커톤은 제 숙원 프로젝트가 되었습니다
•
추가자료
◦
3 . 인공+인간지능 개인비서 서비스 “킴비서” (네.. 2015년에 chatgpt 만들고 싶었습니다..ㅠㅠ)
•
메르스로 인해 행사는 취소되었지만 행사의 메인 스폰서 중 한 곳이었던 Lufthansa Airline의 CFO로부터 직접 투자를 받아 대화형 인공비서 서비스, 킴비서를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함께 하던 친구들의 개인사정으로 저희들의 미션은 잠시 멈추었지만 그 때 생긴 Digital Communication에서 Chat의 중요성과 무궁무진한 기회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경험이었습니다.
•
독일 루프트한자 CFO 분이 먼저 투자 제안을 해주셨고 ask based funding 방식으로 킴비서(secretaryKim)을 운영하였습니다.
4.실리콘밸리에서 3년 Solutions Engineer, CX growth, Product Manager
•
그 후 SendBird의 실리콘밸리 진출 즈음에 합류하여 미국 증시 IPO를 목표로 열심히 배우며 Customer Onboarding/Education/Support Experience 쪽의 OKR를 맡았으며 User Community 세팅을 한 후 보다 스케일링할 수 있는 Product Led Growth via In-Product Self-Serviceable Dashboard를 만드는데 흥미를 가졌고 관련 공부를 했습니다.
•
약 1.25조 valuation에 2800억원 투자 받은 스타트업의 70번대 직원으로 조인해서 series B, C 투자를 받으며 350명으로 성장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5.
뉴욕 맨하튼에서 Product Manager (2년)로 근무했으며 커뮤니티 운영을 좋아하는 PM 입니다.
6.
7.
기타
•
파트타임으로 해외로 나가는 스타트업들을 2군데 코칭해주고 있습니다. (생산성 (일잘러))
•
또한 free time에는 배운 경험을 토대로 주변 지인이나 제 life mission과 연관된 일을 하고 계신 스타트업을 도와주기도 합니다.
•
지금은 저희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며 사람들을 더 잘 연결해주는 이벤트,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최근 관심이 있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
0. Life mission
1.
help individual finds own calling, build expertise, and go beyond financial, locational, time limitation (누구나 자신의 콜링을 찾고 그걸 꾸준히 할 수 있는 루틴을 만들고 그걸 함께 이룰 수 있는 팀과 일거리를 찾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시간, 장소, 경제적으로부터 자유롭게 자신의 사명을 살 수 있도록 10명을 도와주는 것)
2.
Among Koreans, I want to contribute to creating impactful tech and startup superstars like Bong Joon-ho, Son Heung-min, Park Se-ri, Park Chan-ho, Kim Yuna, and Elon Musk (한인 중에서 봉준호, 손흥민, 박세리, 박찬호, 김연아 등 일론 머스크처럼 임팩트있는 테크와 창업계의 슈퍼스타가 나오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Life Recipe
[운영중인 커뮤니티 소개]
•
2018년 겨울부터 실리콘밸리에서 근무하며 혼자 성장하는 것에 한계를 느껴 더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싶은 마음에 약 1-2년 전에 제가 고민하고 있던 업무에 관해 고민해봤던 분들을 찾아다녔습니다.
•
저의 당시 고민을 1-2년 전에 경험해보신 분들께서 공유해주신 노하우가 성장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고 감사한 마음에 제가 배운 것들 또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이 들어 온라인 세션을 통해 공유하기 시작했습니다.
•
세션들을 진행하면서 함께 업무,공부를 하면서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도와주며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2020년 4월 시작했던 온라인 기반 한인 IT 커뮤니티가 현재 실리콘밸리/뉴욕/서울 + 유럽, 홍콩, 일본, 두바이 등을 포함하여 약 450명 정도 함께 해주실 정도로 성장하였습니다.
•
제품 개발을 하지 않고도 그 실효성을 검증해보기 위해 24년도 5월부터 다시 커뮤니티 세션 운영을 시작했으며 5월 이후 7회 정도의 세션을 진행하였고 점차 활성화되기 시작했습니다.
•
현 커뮤니티 메인페이지를 참고하여 자동화할건 자동화하고 커뮤니티 멤버 분들이 더 건강하고 활발하고 지속가능하며 커뮤니티에 쓰시는 마음/시간/노력 보다 얻어가실 수 있는게 더 많은 커뮤니티가 될 수 있도록 추가 기능 등을 업그레이드하여 version 2.0를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2021년 적었던 소개글]
실리콘밸리의 B2B SaaS 스타트업(Sendbird)에서 Solutions Engineer로 일하고 있습니다. Customer Onboarding/Support Operation/Technical Support을 주로 담당하지만 Product/Project Management, Growth Hacking, Community Building등 사람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조금은 특이한 엔지니어입니다.
회사 내에서는 PM 업무를 하기 어려워, 사이드 프로젝트로 한을 풀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모르는 사이 이 웹사이트를 통해 A/B테스트를 할 수도 있어요
어렸을 때부터 창업 및 커뮤니티/이벤트 빌딩에 관심이 많아 2015년 서울시장님, 유엔협회세계연맹 사무총장님, 백악관CTO님과 함께 “글로벌 해커톤 서울“이라는 전세계 개발/기획/디자이너 올림픽을 기획하였습니다.
메르스로 인해 행사는 취소되었지만 행사의 메인 스폰서 중 한 곳이었던 Lufthansa Airline의 CFO로부터 직접 투자를 받아 대화형 인공비서 서비스, 킴비서를 창업한 경험이 있으며
공동창업자들의 개인사정으로 저희들의 미션은 잠시 멈추었지만 그 때 생긴 Digital Communication에서 Chat의 중요성과 무궁무진한 기회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SendBird에 합류하여 못다한 미션을 수행하며 미국 증시 IPO를 목표로 열심히 배우는 중입니다.
센드버드의 고객들이 더 쉽게 제품을 이용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빠르고 정확하게 지원할 수 있는 Customer Onboarding/Education/Support Experience 쪽의 OKR를 맡고 있으며 그 경험을 토대로 주변 지인 스타트업을 도와주고 있습니다.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부분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Experience
Speciality
Gallery
Default view
Search
Projects
Gallery
Default view
Search
Toolbox
Activities
Gallery
Default view
Search
Knowledgebase
Blogging
Default view
Search
오에콘 (오늘 에릭이 읽은 콘텐츠)
1:1 Coffeechat
저와 더 소통하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캘린더를 통해서 줌 콜을 신청해주세요
•
Chat 요청 시 요청 Agenda를 꼭 기재해주세요. (Agenda 있는 미팅은 서로의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합니다)
◦
진로 찾기, 해외 진출, 스타트업, 캐치업 등등
컨설팅/프리랜싱을 대하는 철학
Copyright
Eric Kim. All rights reserved.
https://bit.ly/ericnotionpage
: help individual finds own calling, build expertise, and go beyond financial, locational, time limitation
0. Life mission
최근 관심이 있고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들
•
또한 free time에는 배운 경험을 토대로 주변 지인이나 제 life mission과 연관된 일을 하고 계신 스타트업을 도와주기도 합니다.
•
파트타임으로 해외로 나가는 스타트업들을 2군데 코칭해주고 있습니다. (생산성 (일잘러))
•
지금은 저희 커뮤니티에서 사용하며 사람들을 더 잘 연결해주는 이벤트,커뮤니티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
그 과정에서 SaaS Study Group 이라는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3년 정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
그 후 SendBird의 실리콘밸리 진출 즈음에 합류하여 미국 증시 IPO를 목표로 열심히 배우며 Customer Onboarding/Education/Support Experience 쪽의 OKR를 맡았으며 User Community 세팅을 한 후 보다 스케일링할 수 있는 Product Led Growth via In-Product Self-Serviceable Dashboard를 만드는데 흥미를 가졌고 관련 공부를 했습니다.
•
메르스로 인해 행사는 취소되었지만 행사의 메인 스폰서 중 한 곳이었던 Lufthansa Airline의 CFO로부터 직접 투자를 받아 대화형 인공비서 서비스, 킴비서를 운영한 경험이 있습니다. 함께 하던 친구들의 개인사정으로 저희들의 미션은 잠시 멈추었지만 그 때 생긴 Digital Communication에서 Chat의 중요성과 무궁무진한 기회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경험이었습니다.
•
그 중 몇 가지 기억에 남는 프로젝트들로는 2015년 서울시장님, 유엔협회세계연맹 사무총장님, 백악관CTO님과 함께 “글로벌 해커톤 서울“이라는 전세계 개발/기획/디자이너 올림픽이 있습니다.
•
"남들이 만들어놓은 길이 아닌 제 마음이 이끄는 길"의 특성을 가진 저는 어렸을 때부터 창업 및 커뮤니티/이벤트 빌딩에 관심이 많아 이런저런 프로젝트, 창업을 해보았습니다.